티스토리 뷰
1866년 발생한 "병인박해"는 조선에서 서양과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당시 흥선대원군은 조선 내 천주교의 확산을 경계하며 대대적인 탄압을 시작했고, 프랑스 선교사를 포함한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처형당했습니다.
이는 프랑스뿐만 아니라 서양 열강에게도 큰 충격을 주었으며, 이후 조선과 서양의 외교적 긴장이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병인박해는 조선이 서양과의 외교 관계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결정적인 사건이었으며, 이후 서양 열강의 개입을 불러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사건 이후 프랑스는 조선을 응징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하며 "병인양요"를 일으켰습니다.
하지만 조선군의 격렬한 저항과 지형적 어려움으로 인해 프랑스군은 철수해야 했습니다.
병인박해는 단순한 종교 탄압을 넘어 조선이 외교적으로 서양과 대립하는 국면을 만들었으며, 이후 조선이 강제적으로 개항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습니다.

병인박해 이후 서양 열강의 대응과 무력 시위
병인박해 이후 서양 열강은 조선에 대해 더욱 적극적인 개입을 시도했습니다. 프랑스는 병인박해를 빌미로 1866년 "병인양요"를 일으켜 강화도를 침공했으며, 미국 또한 1871년 "신미양요"를 일으켜 군사적 압박을 가했습니다.
서양 열강은 조선이 천주교를 탄압하고 외국인을 배척하자 무력 시위를 통해 개항을 강요하는 정책을 펼쳤습니다.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은 강화도의 외규장각을 약탈하고 일부 지역을 점령했지만, 조선군의 저항에 부딪혀 철수했습니다.
이후 미국 역시 조선과의 외교를 시도했으나 실패하자, 신미양요를 일으켜 강화도를 공격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또한 조선군의 결사항전에 의해 철수하게 되었으며, 서양 열강과 조선의 외교적 갈등은 더욱 깊어졌습니다.
조선의 쇄국 정책 강화와 서양과의 외교적 거리
병인박해와 연이은 외세의 침략 이후 조선 정부는 더욱 강경한 쇄국 정책을 펼쳤습니다.
흥선대원군은 서양과의 외교 관계를 거부하며, 외국 세력의 침입을 막기 위해 전국적으로 방어 태세를 강화했습니다.
특히 서양과의 외교적 교류를 일절 차단하며, 외국 선박이 조선 연안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철저한 감시를 시행했습니다.
흥선대원군은 서양 세력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더욱 강력한 쇄국 정책을 추진하며 조선의 외부 교류를 차단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조선이 국제 사회에서 더욱 고립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서양 열강은 조선이 폐쇄적인 정책을 지속하는 것을 불만스럽게 여겼으며, 이후 조선을 개항시키기 위한 보다 강력한 외교적, 군사적 압박을 가하게 됩니다.
병인박해 이후 서양과의 통상 조약 체결
조선이 쇄국 정책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서양 열강은 조선과의 외교적 관계를 확립하기 위해 지속적인 압박을 가했습니다. 결국 조선은 일본과의 강화도조약(1876년)을 시작으로, 서양과의 불평등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습니다.
연도 | 체결국 | 조약 내용 |
---|---|---|
1876년 | 일본 | 강화도조약 체결, 조선 개항 |
1882년 | 미국 |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
1883년~1884년 | 영국, 독일, 프랑스 | 조선과 통상 조약 체결 |
특히, 조미수호통상조약(1882년)은 조선이 서양과 맺은 최초의 조약으로, 이를 통해 조선은 점차 서양과의 외교 관계를 맺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 조약 또한 불평등 조약의 성격을 띠고 있었으며, 서양 열강이 조선에서 경제적 이익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들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결론
병인박해 이후 조선과 서양 열강의 외교 관계는 급격한 변화를 겪었습니다.
조선이 천주교 탄압을 강행하면서 서양 열강과의 외교적 갈등이 심화되었고,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계기로 조선의 쇄국 정책은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하지만 결국 서양 열강의 지속적인 압박으로 인해 조선은 일본을 시작으로 미국, 영국, 프랑스 등과 불평등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으며, 이는 조선이 국제 사회에 개방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
병인박해는 조선의 외교적 고립을 초래했지만, 결국 서양과의 개방을 피할 수 없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결국 병인박해 이후 조선은 점차 서양과의 외교 관계를 수립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렸으며, 이는 조선의 근대화와 개항의 시작점이 되었습니다.
'역사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오박해 이후 조선 후기 종교 정책 변화와 탄압 방식 분석하기 (0) | 2025.02.27 |
---|---|
기해박해 당시 조선 정부의 탄압 방법과 신앙의 확산 알아보기 (0) | 2025.02.27 |
병인양요와 강화도 조약이 조선의 국방 정책 변화에 미친 영향 분석하기 (0) | 2025.02.27 |
임술 농민 봉기가 조선 후기 개혁 정책에 미친 변화 분석하기 (0) | 2025.02.27 |
임오군란과 청나라의 개입이 조선 정치에 미친 영향 알아보기 (0) | 2025.02.27 |